맨위로가기

대잠 미사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잠 미사일은 수중의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해 설계된 미사일로, 경어뢰를 탄두로 사용하며 추진체로 운반된다. 수상함이나 잠수함에서 발사되며, 탐지된 잠수함 상공에서 낙하산을 통해 감속 후 어뢰를 분리하여 공격한다. 주요 국가별로 다양한 대잠 미사일이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홍상어를, 미국은 ASROC과 VL-ASROC, 일본은 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 러시아는 RPK-1 비흐르, RPK-3 메텔 등을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잠 미사일 - RUM-139 VL-ASROC
    RUM-139 VL-ASROC은 굿이어 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수직 발사형 대잠 미사일로, MK 41 발사 시스템과 호환되며 RUR-5 ASROC을 기반으로 성능을 향상시켜 MK 46 어뢰 또는 MK 54 어뢰를 탑재하고 미국과 일본 해군에서 사용된다.
  • 대잠 미사일 - 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
    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은 일본 기술연구본부에서 개발하여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는 대잠수함 로켓으로, 기존 아스록 미사일보다 빠른 속도와 장거리 탐지 능력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 유도 미사일 - 원거리 공격 미사일
  • 미사일 종류 - 대함 미사일
    대함 미사일은 함선 공격에 사용되는 유도 미사일로, 발사 플랫폼, 유도 방식, 속도, 사거리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현대 해군 함정에 위협이 된다.
  • 미사일 종류 - 공중 발사 탄도 미사일
대잠 미사일
개요
종류
주요 종류대잠 로켓
설명
역할수중 함정 공격
상세 정보
다른 명칭대잠 무기 (Anti-Submarine Weapon, ASW)
관련 항목어뢰
참고대잠 무기(ASW)와 대잠수함 전투(Anti-Submaribe Warfare, ASW) 및 대수상함 전투(Anti-Surface unit Warfare, ASW 또는 ASuW)의 약어는 모두 동일한 철자이므로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판단해야 함. 일반적으로 ASW는 대잠수함 전투를 의미함.
수면 함정의 VLS에서 발사되는 VL-ASROC
수면 함정의 VLS에서 발사되는 VL-ASROC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SUBROC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SUBROC

2. 역사

폭뢰는 잠수 중인 잠수함에 대해 사용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무기였다. 초기에는 전함이 잠수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 위로 이동하여 폭뢰를 떨어뜨리는 방식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함정의 소나가 근거리에서 잠수함과 접촉을 유지할 수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헤지호그, 스퀴드 등 다양한 박격포 유형 발사기가 개발되어, 전함이 잠수함과 소나 접촉을 유지하면서 폭발물을 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6]

냉전 기간 동안 대잠 미사일은 원거리 공격을 위해 개발되었다.[7] 대한민국홍상어를 개발하여 대잠 전력을 강화했다.

대잠 미사일의 장점은 원거리 공격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서방 국가 해군에서 대잠 로켓은 퇴역하고, 유도 대잠 어뢰로 대체되었다.

3. 구성

대잠 미사일은 탄두인 경어뢰와 이를 운반하는 추진부로 구성된다. 탄두인 경어뢰는 소나 호밍 방식의 유도 장치를 갖춘 것이 사용된다.[2]

4. 운용

대잠 미사일은 발사 플랫폼에 따라 수상함 발사 대잠 미사일(SUM)과 잠수함 발사 대잠 미사일(UUM)로 나뉜다. 주로 탐지 거리가 길고 발사기를 탑재하기 쉬운 수상함에서 운용된다.[1]


  • 수상함 발사 대잠 미사일(SUM): 탐지 거리가 길고 발사기 탑재가 용이하여 주로 사용된다.
  • 잠수함 발사 대잠 미사일(UUM): 배수량 및 탐지 거리 제한, 높은 기술 요구, 정보 교환의 어려움, 은밀성 상실 등의 문제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특히 소형인 통상동력잠수함에서는 탑재 공간이 부족하다.[1]


냉전 종식 이후, 대잠전의 주력은 공격형 잠수함 외에 대잠초계기나 대잠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 전력이 담당하게 되었고, 잠수함의 새로운 기술적 비약도 없었던 탓에 대잠 미사일 개발 사례는 많지 않다.[1]

대잠 미사일은 탐지된 잠수함을 향해 발사되며, 목표 상공에서 탄두를 분리한다. 탄두는 낙하산 등으로 감속되어 착수 후, 유도 어뢰인 경우 스스로 목표를 탐지하여 공격한다.[1]

5. 주요 국가별 대잠 미사일

국가미사일 이름비고
이카라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사용. 로켓-낙하산 투하 시스템으로 최대 약 16.09km까지 음향 어뢰 운반. 영국 해군용 개량형은 핵 심해 기뢰 운반 가능.
말라폰1964년 개발.
스마트개발 중인 초음속 대잠 미사일.
밀라스프랑스와 공동 개발.
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RUM-139 VL-ASROC 기반 개발.
CJ-1 어뢰
CY 시리즈
홍상어세종대왕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등에 탑재.
/85RU
/RPK-2 비유가
/86R
/88R
/RPK-1 비흐르
/RPK-9 메드베드카
/메텔 대함 미사일 시스템
/칼리브르
/이카라
RUM-139 VL-ASROC
RUR-5 ASROC
UUM-44 SUBROC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K-ASROC (홍상어)를 독자 개발하여 세종대왕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등에 탑재하여 운용하고 있다.[1] 일본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을 기반으로 국산 97식 어뢰나 12식 어뢰를 탑재한 K-ASROC (홍상어) 개량형도 존재한다.[2]

5. 2. 미국

ASROC(Anti-Submarine Rocket)은 미국이 1961년에 개발한 대잠 로켓이다. "Match Box" 또는 "Pepper Box"라고 불리는 Mk.112 8연장 발사기에 수납되어 발사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건조된 대부분의 미국 해군 군함에 장착되었다. Mk.112는 4열 2단으로, 상하 2개씩 4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4개의 조는 독립적으로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대형 함정에서는 자동 장전 장치를 이용해 재장전도 가능하다. Mk.10이나 Mk.26 등의 함대공 미사일 발사기에서도 발사가 가능하다.[3] 미사일은 고체연료 로켓을 통해 최대 10km까지 음속으로 비행하며, 설정된 비행 시간이 지나면 탄두를 분리한다. 탄두로는 핵폭뢰 또는 대잠 유도 어뢰가 사용되었다. 핵폭뢰에는 1kt(킬로톤)급 W44 핵탄두가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에 모두 퇴역했다. 대잠 어뢰로는 Mk.44/Mk.46이 사용되었다. ASROC은 대한민국 해군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초기형에도 탑재되었다.[3]

VL-ASROC(Vertical Launch Anti Submarine ROCket)은 ASROC의 후계로, 1993년부터 배치가 시작되었다. ASROC을 최신 이지스 시스템에 통합하고 수직 발사 시스템(VLS)에서 운용 가능하도록 개량한 것이다. 수직 발사기에서 발사된 ASROC은 스스로 방향을 바꿔야 하므로, 관성 유도 장치와 가동 노즐에 의한 추력 벡터 제어 기구가 통합되었다. 탄두는 Mk.46/Mk.54 대잠 어뢰가 사용된다.[4]

SUBROC은 1965년부터 1990년대까지 운용된 핵탄두 잠수함 발사 대잠 미사일이다.

시랜스는 1980년대에 개발되었으나 1990년 개발이 중지되어 실용화되지 않았다.

5. 3. 일본

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RUM-139 VL-ASROC을 기반으로 일본이 개발한 함대잠 미사일이다.[1]

일본의 07식 수직발사 대잠로켓 미사일이 수직 발사 시스템에서 발사되는 모습.

5. 4. 러시아/소련


  • '''RPK-1 비흐르'''(Vikhr, NATO 코드명: SUW-N-1 우그라, FRAS-1[1]): 소련이 1968년에 개발한 대잠 미사일이다. 육군의 무유도 대형 로켓탄 R-65/70 루나-M(FROG-7)을 개조하여, 탄두에 핵폭뢰(핵출력 5kt) 또는 450mm 어뢰를 탑재했다. 82R형 미사일의 사거리는 24km였다. 모스크바급 헬리콥터 순양함과 키예프급 항공모함 등에 탑재된 2연장 발사기로 운용되었다.

RPK-1(SUW-N-1)

  • '''RPK-3/4/5''' (NATO 코드명: SS-N-14 실렉스): 소련이 1968년에 개발한 대잠 미사일/수중 발사 미사일이다. 서방에서 SS-N-14로 식별 및 명명된 대잠 미사일 시스템에는 RPK-3 메텔(Metal), RPK-4 무손(Musson), RPK-5 라스트룹(Rastrub)의 3종류가 있으며, 각각 60RU, 70RU, 80RU, 85RU의 4종류의 미사일이 사용된다. 미사일은 유익의 비행기 형태로 동체에 폭뢰/어뢰를 매달아 4연장 튜브 발사관에서 발사되며, 고체연료 로켓으로 아음속 비행을 한다. 사거리는 최대 45km이며, 유도는 명령 갱신 방식의 오토파일럿이다. 60RU는 탄두로 핵출력 5kt의 핵폭뢰를, 70RU는 대잠 어뢰를, 80RU는 대잠 어뢰와 함께 대함용 적외선 호밍 시커와 150kg의 반철갑 탄두를 탑재한다. 85RU는 80RU의 수출형이다. 대잠 어뢰는 수동/능동 복합 음향 유도 전기 어뢰인 AT-2UM(E53-72), VTT-1(E45-75), UMGT-1M(E40-79)이 사용된다.

어뢰 종류직경탄두(폭약)속도항주거리유도 방식
AT-2UM(E53-72)533mm80kg40노트10km수동/능동 복합 음향 유도
VTT-1(E45-75)450mm90kg38노트8km수동/능동 복합 음향 유도
UMGT-1M(E40-79)406mm60kg40노트15km수동/능동 복합 음향 유도


  • '''RPK-2 비유가'''(Vyuga, NATO 코드명: SS-N-15 스타피시): 소련이 1969년에 개발한 대잠 미사일/수중 발사 미사일이다. 미사일은 단순한 원통형으로 533mm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되며, 고체연료 로켓으로 아음속 비행을 한다. 사거리는 최대 45km이다. 탄두는 핵폭뢰이며, 핵출력은 20kt 또는 200kt라고도 한다. 미국에서는 RPK-2가 SUBROC의 복제품이라고 여겨진다. 소련 해군의 핵잠수함에는 핵탄두형만 배치되었지만, 40형 어뢰를 장비한 수출용 일반 탄두형이 있다.

  • '''RPK-6/7''' (NATO 코드명: SS-N-16):

  • '''RPK-8''' 자파드(Zapad): RBU-6000으로 알려진 대잠 로켓 폭뢰(소련식으로는 제트 폭뢰)의 12연장 발사 장치에서 90R 미사일을 사용하는 대잠 미사일 시스템의 명칭이다. 90R은 유도 장치를 가진 고체 로켓 추진 미사일이며, 탄두는 19kg의 고성능 폭약, 사거리는 4.3km, 수중 유도는 수동 음향 유도라고 한다.[2]

  • '''RPK-9 메드베드카'''(Medvedka, NATO 코드명: SS-N-29): 러시아가 1990년대에 개발한 소형 함정용 대잠 미사일로, 얕은 바다(천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4연장 튜브 컨테이너에서 발사되지만, VLS화도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미사일은 안정익을 가진 무유도 로켓과 400mm 소형 유도 어뢰로 구성되며, 사거리는 20km라고 한다.

  • '''클럽'''(러시아어: Клуб) 또는 '''칼리브르'''(Калибр): MAKS-93에서 발표된 러시아순항 미사일이며, 단거리 어뢰를 탄두로 하는 대잠 미사일 형태도 포함되어 있다. 533mm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되는 UUM(Club-S)인 91RE1과 VLS에서 발사되는 SUM(Club-N)인 91RTE2가 개발되었다. 전자의 사거리는 50km, 후자는 40km라고 한다. 라다급 잠수함과 스테레구시급 초계함(20385형 이후) 등에 운용 능력이 부여되어 있다.

MAKS 2009에서 전시된 91RTE의 모형

5. 5. 오스트레일리아

이카라는 1965년 오스트레일리아가 개발한 함대잠 미사일이다.[1] 로켓-낙하산 투하 시스템은 발사 후 최대 약 16.09km까지 음향 어뢰를 운반했다.[1] 영국에서 재설계되어 영국 해군이 사용한 변형 모델은 핵 심해 기뢰를 운반할 수 있었다.[1]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설계된 미사일인 이카라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여러 해군에서 사용되었습니다.

5. 6. 프랑스

프랑스는 1964년에 말라폰 함대잠 미사일을 개발했다.

5. 7. 이탈리아

밀라스(Milas)는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함대잠 미사일이다.[1]

5. 8. 중국

5. 9. 인도

SMART는 인도가 개발 중인 초음속 대잠 미사일이다.

참조

[1] 서적 The Battle of the Atlantic Dial Press
[2] 서적 Weyer's Warships of the Worl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 간행물 七四式ロケットランチャーMk112 潮書房
[4] 논문 アメリカ海軍の艦載兵器 海人社
[5] 웹사이트 対潜ロケット/魚雷/爆雷(中国) http://seesaawiki.jp[...]
[6] 서적 The Battle of the Atlantic Dial Press
[7] 서적 Weyer's Warships of the Worl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8] 웹사이트 Forecast International: Intelligence Center https://www.foreca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